치과교정장치/치아교정 유지장치♣ 만드는 방법,치아교정장치 투명교정:clear aligner : 치과기공사

2018. 11. 24. 14:49etc...,




[ 영상자료는 orthodontic dental technician :: 'CADE' 로 부터 동의를 구한 자료입니다. 무단 사용을 금지합니다.]


Clear aligner 는 치아교정이 끝난 후 치아가 제대로 자리를 잡을 수 있게끔 사용하는 유지장치의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

물런 경우에 따라 치아의 재배열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치아교정 유지장치의 일종인 retainer 는 치아의 보이는 앞쪽 면 (입술과 닿는 면) 으로 교정용 와이어가 지나가게 되어

치아교정 이후 사용하기 번거롭다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대체해서 이 투명교정장치를 이용해서 치아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Clear aligner : 투명치아교정장치 : 투명 치아 교정기


투명교정장치 : 최근에는 보다 시스템화된 투명교정장치들이 많이 제품화되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치아교정의 마지막 마무리 단계에서 움직임이 필요한 한 두개의 치아는 이렇게 부분적으로 이동시킨 후 투명한 치아교정장치를 만들어 사용한다.

재배열된 치아에 맞게 제작된 투명교정장치는 치아에 들어가서 그 이상적인 배열로 치아의 움직임을

이끌어 낸다.



1. 부분적인 치아의 재배열이므로 굳이 복제 duplication 하지 않고 그림과 같이 putty 를 이용하여 index core 를 만들어 놓는다.

2. 재배열이 필요한 치아의 치축과 치아 배열선으로 움직임을 진단 계획한다.

3. 치형을 분리 시킨다.

4. 분리된 치아 모형의 아래 부분은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쇄기 모양으로 아래를 뾰족하게 만들어 준다.

5. 유틸리티 왁스로 움직임을 만들어 이상적인 모양으로 치아를 재 배열 한다.

6. 투명한 치아 교정장치 , 이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 지게 되는 단계의 경우 거의 대부분 치아교정의 마지막 마무리 단계가 많다.

그래서 치아의 움직임은 거의 1mm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하지만 진단하는 의사의 계획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7. 재배열된 치아의 모양으로 vacuum 에 투명교정장치의 재료가 되는 플레이트를 적용시킨다.

8. 치아의 움직임이 많이 예상되더라도 단계별 움직이는 정도의 한계가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치아를 움직여서는 안된다.



*실제 만들었을 때 했던 실수 : 치형을 분리 하는 과정에서 치아의 인접면이 파손되는 경우

실수로 인덱스 코어를 미리 만들어 놓지 않았을 경우

모형관리 부족으로 모형이 파손된 경우.



*주의 : 투명한 치아 교정 장치를 사용한채  음식을 먹으면 안됩!

         열에 약한 치아교정장치이므로 소독을 목적으로 고온의 물속에 담그게 될 경우 변형의 우려.







배우든 배우지 않든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하지만 시작했으니 최고가 되고 싶었다.